CQI‑24: DRBFM Guide / 고장형태 기반 설계검토 지침
페이지 정보
작성자 AMP시스템 댓글 0건 조회 181회 작성일 25-06-29 11:10본문
CQI‑24: DRBFM Guide / 고장형태 기반 설계검토 지침
최신판 정보
-
버전: 1st Edition (2010년 발행)
-
공식 문서 구매처:
CQI‑24 구매 바로가기 (AIAG)
간단 설명
CQI‑24는 Design Review Based on Failure Mode (DRBFM) 기법을 설명하는 설계검토 지침서입니다.
DRBFM은 설계 변경이 발생했을 때 해당 변경이 품질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사전에 검토하고 위험을 줄이는 방법론으로,
일본 Toyota에서 시작되어 현재 글로벌 OEM과 협력업체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습니다.
이 가이드는 기존의 FMEA보다 변경 중심(Change-focused)의 설계 리스크 평가에 초점을 맞추며,
DFMEA와 연계하여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.
주요 점검 항목 또는 적용 요소
항목 | 설명 |
---|---|
변경사항 식별 | 설계, 공정, 재질, 규격 등에서의 변화 요소 명확히 구분 |
변경 전·후 기능 분석 | 변경된 기능이 기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평가 |
고장형태 도출 | 변경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신규 고장(Failure Mode)을 식별 |
설계검토 회의 운영 | 관련 부서가 참여한 DRB 회의에서 위험요소 검토 및 대책 수립 |
문서화 및 후속관리 | 검토 결과를 DFMEA, DVP&R, 변경관리 문서에 반영 |
기대 효과 또는 적용 이점
-
설계 변경 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
-
고객 승인 전 설계 검토 근거로 사용 가능
-
DFMEA 개선과 설계 변경 관리의 체계성 확보
-
IATF 16949 및 OEM 고객 요구사항 대응에 효과적
현장 적용 팁 또는 운영 방법
-
신규 설계나 사양 변경 발생 시 DRBFM 회의 운영 필수
-
변경부위 표시도(예: RED MARK 도면)와 함께 기능 영향 검토
-
회의 결과는 반드시 DFMEA 및 DVP&R에 반영
-
제품 개발 초기부터 품질부서와 설계부서가 공동 주도
교육 및 컨설팅 안내
AMP시스템은 CQI‑24 기준에 따라 DRBFM 실무 적용을 위한 워크숍 중심 교육을 제공합니다.
설계 변경 사례 실습, DRBFM 회의 운영 방법, 기존 DFMEA 연계 방식 등 실무 중심으로 구성되며,
고용노동부 사업주훈련 과정을 통해 무료 또는 최소 비용으로 수강할 수 있습니다.
교육 주요 내용
-
DRBFM 개념 및 구조 설명
-
설계 변경 항목 도출 및 기능 분석 실습
-
DRB 회의 운영 및 문서화 방법
교육 문의: 010‑2428‑3345 (AMP시스템 대표)
이메일 문의: amp@ampbiz.co.kr
온라인 문의: 온라인 문의 바로가기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