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DA Volume 2: PPF / Produktionsprozess- und Produktfreigabe
페이지 정보
작성자 AMP시스템 댓글 0건 조회 242회 작성일 25-06-29 11:25본문
VDA Volume 2: PPF / Produktionsprozess- und Produktfreigabe
제품 승인 절차 지침 (PPF, AIAG PPAP 대응)
최신판 정보
-
버전: 6판 (6th Edition, 2020년 발행)
-
발행처: VDA QMC (Verband der Automobilindustrie e. V.)
-
공식 구매처: beuth.de 공식 페이지
간단 설명
VDA Volume 2는 PPF(PPF: Produktionsprozess- und Produktfreigabe, 생산공정 및 제품 승인) 절차를 규정한 지침서로,
**독일 자동차 산업 전반에서 부품 개발 완료 후 고객 승인(PPA)**을 받기 위해 사용하는 공식 표준입니다.
이 기준은 북미의 **AIAG PPAP (Production Part Approval Process)**와 유사한 목적을 갖고 있으며,
VW, Mercedes-Benz, BMW 등 독일 OEM 납품 시 필수 적용됩니다.
특히 설계 변경, 생산 이전, 외주 변경 등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변경 발생 시 PPF 절차가 요구됩니다.
PPF vs. PPAP: 구조 비교 요약
항목 | VDA: PPF (VDA Volume 2) | AIAG: PPAP |
---|---|---|
명칭 | Produktionsprozess- und Produktfreigabe | Production Part Approval Process |
적용 국가 | 독일, 유럽 OEM 중심 | 북미, 글로벌 범용 |
승인 레벨 | 1~8단계 (PPF Level) | 1~5단계 (PPAP Submission Level) |
제출 문서 | 도면, CP, FMEA, MSA, 시험성적서, 변경내역 등 | 동일 (단, 용어와 양식 차이 있음) |
고객 승인 방식 | 승인 / 조건부 승인 / 반려 | 동일 |
주요 제출 사유 및 적용 대상
-
신규 부품 개발
-
설계 변경 (도면, 소재, 공정 등)
-
생산설비/공정 변경
-
공급자 변경, 외주처 변경
-
생산지 이전
-
고객 요구에 따른 재승인 요청
제출 문서 구성 예시 (Level에 따라 상이)
-
도면 사본 및 사양서
-
공정흐름도(Process Flow Diagram)
-
공정 FMEA / 설계 FMEA
-
관리계획서(Control Plan)
-
시험성적서(치수 / 성능 / 재료)
-
측정시스템분석(MSA), SPC
-
초기 생산 샘플
-
포장사양
-
변경이력 및 고객요구사항 대응표
기대 효과 또는 적용 이점
-
고객사 납품 승인 획득의 필수 문서
-
공정 리스크 사전 검증 및 고객 클레임 방지
-
FMEA/CP/SPC 등 품질문서의 체계적 통합
-
AIAG PPAP 사용자도 PPF를 병행 적용 시 독일 OEM 대응력 강화
현장 적용 팁
-
고객사에 따라 **PPF 양식 및 제출 레벨(Level)**은 별도 지정되므로 사전 확인 필수
-
변경 시에는 관련 모든 품질문서(FMEA, CP, 시험성적서 등) 일괄 갱신 필수
-
승인 완료 후 고객의 서면 승인서(PPA)를 반드시 보존하고, ERP 기록 연동 권장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