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N 15085: 철도차량 용접 품질 보증 기준
페이지 정보
작성자 AMP시스템 댓글 0건 조회 208회 작성일 25-06-29 11:36본문
EN 15085: 철도차량 용접 품질 보증 기준
Welding of Railway Vehicles and Components
최신판 정보
-
표준명: EN 15085 시리즈 (Parts 1~5)
-
적용 영역: 철도차량 및 그 구성부품의 용접 품질 보증 체계
-
발행처: CEN (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)
-
국내 연계 기준: KS B ISO 3834 및 EN ISO 9606 시리즈와 연동
간단 설명
EN 15085는 철도차량 본체 및 구성품(프레임, 차축, 탑재장치 등)의 용접 품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유럽 공식 표준입니다.
차량의 주행 안정성 및 승객 안전에 직접 연결되는 용접부의 설계, 자격, 생산, 검사, 문서화 기준을 종합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.
용접 설계/생산/검사/시공에 관련된 기업은 공급망 진입을 위해 반드시 이 인증을 받아야 하며,
유럽뿐 아니라 한국·일본 등에서도 철도 부품 수출 시 필수 인증으로 간주됩니다.
구성 및 범위
파트 | 명칭 | 설명 |
---|---|---|
Part 1 | 일반 사항 | 적용 범위, 품질 요구, 자격 분류 체계 등 |
Part 2 | 품질 요구 | ISO 3834 기반 용접 QMS 요건 정리 |
Part 3 | 설계 요구 | 용접 이음부, 응력, 재료 선택 등 설계 가이드 |
Part 4 | 생산 요구 | 용접작업 실행, 용접사 자격, 장비요건 등 |
Part 5 | 검사 및 시험 | 비파괴검사(NDT), 기록 보존, 승인절차 등 |
인증 체계 및 등급
등급 | 적용 대상 | 설명 |
---|---|---|
CL1 | 고속차량·중요 구조 | 가장 높은 안전등급 요구 (고속철, 지하철 차량본체 등) |
CL2 | 일반 구조 | 객차, 프레임, 내부 구조물 등 |
CL3 | 비중요 구조 | 문, 내부 부품, 비구조 연결 등 |
※ 용접제작업체는 반드시 등급별로 심사를 받아야 하며,
인증기관(TÜV, DNV 등)의 감독 하에 **공인용접사(Welder) 자격과 WPS(용접절차서)**도 함께 관리됩니다.
기대 효과 또는 적용 이점
-
철도차량 구조물 설계
생산검사까지 품질 보증 체계 구축 -
유럽 철도 프로젝트(OEM) 입찰 자격 확보
-
용접 불량률 감소, 재작업 비용 절감
-
ISO 3834와 연계하여 철강·조선·플랜트 부품 용접 QMS로도 확장 가능
현장 적용 팁 또는 운영 방법
-
용접사 자격은 EN ISO 9606-1 기준으로 인증 필요
-
용접 절차서(WPS)는 PQR(절차 적합성 시험) 결과와 함께 보관
-
비파괴검사(NDT)는 자격자에 의한 시험보고서 보존 필수 (EN ISO 9712 기반)
-
정기적으로 용접 품질기록, 검사 결과, 교육 이력 등 문서화 관리 필요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