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N 15227: 철도차량 충돌내구성 설계 기준 > 공지사항 AMP SYSTEM 에이엠피시스템 FMEA 교육 컨설팅 자동차품질인증

본문 바로가기

공지사항

공지사항 HOME


EN 15227: 철도차량 충돌내구성 설계 기준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AMP시스템 댓글 0건 조회 216회 작성일 25-06-29 11:37

본문

EN 15227: 철도차량 충돌내구성 설계 기준

Crashworthiness Requirements for Railway Vehicle Bodies

최신판 정보

  • 표준명: EN 15227:2020 (Railway applications – Crashworthiness)

  • 적용 범위: 철도차량의 운전실(front end), 본체 구조물(crash zone) 설계

  • 발행처: CEN (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)

  • 국내 연계 기준: 한국철도기술연구원 KRTS 가이드 일부 반영


간단 설명

EN 15227은 철도차량이 충돌 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생존공간 확보 및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,
차량 구조물에 요구되는 충돌에너지 흡수 능력(Crash Energy Management)을 설계단계부터 반영하도록 규정한 유럽 표준입니다.

고속철도, 도시철도, 통근형 차량 모두 해당되며, 특히 운전실 구조는 충돌 시 변형구간, 에너지흡수장치, 생존공간 유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

필수 충돌 시나리오 (4가지)

시나리오설명
시나리오 1동일한 차량과 정면충돌 (25 km/h) – 에너지흡수구조 확인
시나리오 2정지된 차량과 충돌 – 36 km/h 충돌 흡수량 평가
시나리오 3화물열차와 충돌 – 구조물 파손 없이 생존공간 유지 필수
시나리오 4도로장애물(트럭 등) 충돌 – 운전실 침입 방지 구조 필수

주요 설계요구 사항

항목설명
충돌 흡수 구조범퍼, 크래시박스, 변형구조 등으로 충돌 에너지 분산 설계 필요
생존공간 유지운전실/객실 내 생존공간(Survival space) 최소 침범조건 설정
재료 기준고강도강, 흡수판, 알루미늄 등 재료의 에너지흡수 특성 분석 포함
시뮬레이션 및 시험FEM 해석 필수, 정적/동적 실험과 시험장비 보유 여부 확인

기대 효과 및 적용 이점

  • 충돌 사고 시 탑승자 생존율 향상 및 설비 손상 최소화

  • 국제 철도차량 조달 사업 진입 시 필수 기준

  • 고속열차, 도시철도차량 설계승인 단계에서 사전 대응 가능

  • 차량 설계 변경 시 정량적 기준으로 고객사 대응자료 활용


현장 적용 팁 또는 운영 전략

  • 설계단계부터 Crash Simulation(FEM 해석) 기반 설계 요구사항 반영

  • 범퍼/흡수박스 설계 시 변형순서, 힘-변위 곡선 규격화 필요

  • 객실 연결부, 좌석 설치부는 차량 하부구조와 연동된 강도 설계 중요

  • 고객 승인 시에는 시험 리포트, 시뮬레이션 영상, 생존공간 분석자료 포함

 

댓글목록

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댓글쓰기

내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