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DA RGA: 신뢰성장분석 지침
페이지 정보
작성자 AMP시스템 댓글 0건 조회 182회 작성일 25-06-29 11:30본문
VDA RGA: 신뢰성장분석 지침
Reliability Growth Analysis (RGA) Guideline by VDA
최신 정보
-
발행처: VDA QMC (Verband der Automobilindustrie e. V.)
-
공식 명칭: Guideline for Reliability Growth in Automotive Development
-
주요 적용 분야: 신제품 개발 단계의 고장 발생률 분석 및 개선 프로세스 설계
간단 설명
VDA RGA는 차량용 부품 및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 단계에서 실시하는 고장 분석 및 개선 프로세스를 정의한 지침입니다.
특히 경량화, 전장화, 전동화된 차량에서 초기 고장이 잦은 부품군에 대해 개발기간 내 고장률(Failure Rate)을 체계적으로 낮추기 위한 실무 프로세스로 활용됩니다.
RGA는 시험 → 고장 발견 → 분석 → 개선 → 재시험이라는 사이클을 반복하며,
**"고장을 예상하고 개선을 계획하는 개발 중심의 예방적 활동"**입니다.
적용 대상 예시
-
전장품: ECU, 인버터, 배터리 BMS, 센서류
-
기계부품: 모터, 랙, 액추에이터 등
-
복합 시스템: ADAS, 파워트레인 모듈, 통신제어장치 등
주요 분석 흐름
단계 | 설명 |
---|---|
계획 수립 | 고장률 목표, 시험 조건, 고장 정의, 추적 지표 설정 |
시험 설계 | 환경 시험(온도, 습도, 진동 등), 수명시험, 가속시험 등 |
고장 기록 | 고장 코드, 발생조건, 시험시간, 고장모드 등 기록 |
분석 및 평가 | Weibull 분포, AMSAA 곡선, MTBF 계산 등 수명 통계 기반 |
개선 반영 | 설계변경, 부품교체, 공정 수정, 재검증 실시 |
문서화 및 보고 | RGA 리포트, Lessons Learned, 개발 이력 데이터화 |
기대 효과 또는 적용 이점
-
설계단계부터 고장유형(Failure Mode) 제거 및 예방 설계 가능
-
신제품 개발 시 고장률 예측 및 개선속도 가시화 가능
-
OEM 고객의 신뢰성 목표(Cpk, B10 Life 등) 사전 대응
-
고장발생 비용 감소, 조기양산 안정성 확보
현장 적용 팁 또는 운영 방법
-
RGA는 FMEA 및 DVP&R과 반드시 연계되어야 의미 있음
-
RGA Curve는 MTBF 목표와 비교하여 개선속도 시각화 가능
-
RGA Report는 고객 초기 승인 또는 PSW 제출 시 부속자료로 사용 가능
-
이슈 발생 시 설계–공정–협력사 간 원인추적의 기준 자료로 재활용 가능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